본문 바로가기

COMPANY

진취, 창의, 신뢰의 핵심가치를 실천하는 유진기업은 국내 레미콘과
건자재유통 분야의 1등 기업입니다.

배경이미지

유진기술연구소

유진기업이 이뤄온 눈부신 성과를 소개합니다.

유진기업은 국책과제와 더불어 건설사 공통 연구 과제, 자체 연구 과제 등 주어진 미션에 성실하게 임하고
끊임없는 연구와 기술력이 더해져 놀라운 실적을 이뤄가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언제든 투명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자체 연구 과제

  • 현장적용을 위한 고강도콘크리트 개발 연구

    국내에서 초고층 건축물이 활발하게 건설되고 있는 송도 Project와 부산지역의 신규 초고층 Project에 대비한 80MPa의 압축강도를 갖는 최적 시방배합 도출 및 생산 기술을 사전에 확보하고, 사용재료의 구성에 따른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제성 확보는 물론 재료역학적 성능 실험을 통하여 시공성 과 내구성을 확보한 21세기 신개념 콘크리트를 개발하였다.

  • 포름산-아세테이트산염계 무염화 방동제 개발 및 적용

    동절기 콘크리트내부의 배합수 결빙에 의한 콘크리트 품질저하 현상을 막기 위하여 첨가하는 방동(동결방지)제로서, 기존 방동제 내의 염소이온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 철근 부식현상을 막기 위하여 염소이온이 없는 무염화 방동제를 개발 적용하였다.

  • 폐분체 도료를 사용한 도로포장 아스콘 개발

    자동차 도색에 사용되는 페인트 중 사용 후 폐기되는 도료를 아스팔트 포장용 개질재로 사용한 것으로, 폐분체 도료에는 플라스틱 성분의 열경화성 수지가 포함되어 아스팔트 혼합물에 녹아들어가 강도증진의 성능을 발휘시킨다. 또한, 기존에는 폐분체 도료가 발생될 경우 폐기처리하여, 비용발생 및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나, 아스콘 개질재로 사용하여 친환경 방법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 박층저소음 배수성 포장 개발

    일반적인 포장체의 포설두께는 5~7cm인데 반해, 본 개발제품은 포설두께를 약 3~3.5cm로 얇게 하여 원재료의 투입량 절감으로 인해 경제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두께가 얇아지면서 내구적으로 약해질 수 있는 부분을 특수 고성능 첨가재를 투입하여 일반 제품과 동일한 내구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제품이다.

  • 보수성 포장용 보수재 개발

    지구의 지속되는 온난화 현상과 여름의 열대아로 인해 대도시 에서는 열섬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열섬현상의 주된 원인으로 도시에 건설된 도로포장체가 열을 흡수하여 대기중으로 방출하는 과정을 통해 대기의 온도가 상승된다. 보수성 포장이란 아스팔트 포장체에 물의 흡수와 보수가 탁월한 보수재 및 시멘트를 주입한 후 물을 포장체에 일정시간 뿌려서 대기중으로 서서히 배출하게 할 수 있는 포장체로 대기의 온도 저감에 따른 열섬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 반강성 포장용 혼합물 개발

    반강성 포장이란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의 장점을 하나로 만든 포장으로,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은 중차량의 통행에 대한 저항성능이 콘크리트 포장보다 좋지 못하여 변형 및 파손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체에 초속경 시멘트 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아스팔트 포장체보다 월등한 고강성을 나타나게 만든 포장 으로 중교통하중이 많이 발생되는 구역에 포설할 경우 포장체의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 고성능(고강도, 고유동, 고내구성) 혼화제 개발

    산업의 고도화 및 건축물의 거대화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강도(40MPa이상), 고유동(Flow 500 ~700mm) 콘크리트 물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성능 혼화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혼화제는 콘크리트 제조후 타설까지 유동성의 변화량이 거의 없고 안정적으로 목표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보할 수 있다.

  • 친환경 콘크리트 혼화제 개발

    주거환경개선 및 환경유해성 저감의 일환으로 콘크리트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화학용 혼화제의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한 친환경 콘크리트용 혼화제로서 석유화학 공정부산물을 활용하여 기존의 혼화제 중 나프탈렌계 원재료내의 포르말린을 제거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해지고 석유화학 공정부산물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되었다.

  • 조기강도용 콘크리트 혼화제 개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혼화제의 경우, 1일 재령이내에 거푸집 탈형강도 수준인 5Mpa을 확보할 수 없었지만, 조기강도용 콘크리트 혼화제를 적용함으로써 1일이내에 5MPa이상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확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설시공비용을 절감을 도모하였다.

  • 혼화재 종류 및 대체율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발현 특성

    혼화재(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플라이애시)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대체율별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외기온 조건에 따라서도 평가를 위하여 동절기와 하절기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레미콘 사업장의 효율적인 배합관리와 환경변화에 따른 배합운영에 실용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 석분 산지별 품질 분석 및 품질 수준에 따른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 설계

    아스콘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석분은 제조사별로 품질이 상이하여 동일한 배합설계에 따라서도 제품의 품질이 달라질 수 있다. 당사에서 사용되고 있는 석분의 산지를 조사하고, 품질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아스콘 제품수준을 고려한 최적배합설계의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 조강형 저발열 혼합시멘트 개발

    기존 저발열 콘크리트에 적용되는 저열 및 저발열 혼합시멘트의 낮은 수화발열 특성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단점인 조기강도 성능을 개선한 혼합시멘트로서, 기존 저발열 시멘트의 초기재령(3일)강도대비 약 20%이상의 강도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시멘트 제조사 및 특성이 고성능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성 검토

    시멘트 제조사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 의 화학용 혼화제 적용성 및 물성 변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시멘트 특성요인을 분석하여 고성능 콘크리트 제조시 품질변동의 최소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과제이다.

  • 표면수 자동측정 장치의 신뢰성 검토

    표면수 측정은 레미콘의 슬럼프, 강도 등의 변동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레미콘 제조시에 특히 중요한 공정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방법보다 정확한 표면수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이를 통해 전체적인 모래 및 물의 배합비율을 보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조강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개발 및 적용

    저온의 양생온도에서 안정적인 강도 확보, 조강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개발 및 사업장 전파에 따른 품질 안정화 기여를 위해 조강 콘크리트용 화학혼화제 적용에 따른 경제적인 조강 콘크리트 배합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 혼합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비교 평가

    다량의 CO2를 발생시키는 시멘트의 사용량 저감 및 온도응력 저감을 통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위해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를 혼입한 저발열형 콘크리트의 기초물성 및 내구성능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 콘크리트 블리딩 저감을 위한 감수제 개발연구

    콘크리트 원재료 품질 및 외부요인에 따른 블리딩 발생 제어 필요 블리딩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 품질저하로 클레임 발생 증가로 블리딩을 저감할 수 있는 화학 혼화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일반강도 배합(21~24MPa)에서 기존 감수제 대비 블리딩량 30% 저감 및 혼화재 다량 치환 콘크리트 배합에 대한 블리딩 저감 효과를 확보하고자 한다.

  • 증기양생법에 의한 혼화재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강도 추정 방안 도출

    국내외에서는 콘크리트의 28일 강도 추정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에 증기양생법에 이용하여 혼화재가 첨가된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 조기 판정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실현장에서의 콘크리트 강도 관리를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고 당사의 품질관리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석탄재 재활용 골재를 사용한 구조용 경량콘크리트 개발

    전력수요의 증가로 인한 유연탄 사용 화력발전소 증가, 매립되는 석탄재의 재활용 방안 모색 및 화력발전소에서 폐기되는 매립회의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재활용하기 위하여 석탄재 사용 경량골재를 활용한 경량콘크리트를 개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용 부재로 활용 가능한 고부가가치 제품화 하고자 한다.